본문 바로가기
세상의 모든 정보

퇴직연금 수령 시 주의할 점 5가지: 세금부터 수익률까지

by 배제스 2025. 4. 26.

퇴직연금.
퇴직할 때 목돈처럼 들어온다고만 생각했는데, 막상 받으려니 생각보다 신경 쓸 게 많습니다.
언제,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세금도 달라지고, 수익률도 달라지고, 노후 자산 관리까지 연결되니까요.

오늘은 퇴직연금을 받을 때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5가지를 정리해봅니다.

1. 일시금 수령 시 세금 폭탄 주의

퇴직 후 한 번에 큰 금액을 받으면 퇴직소득세가 꽤 세게 나올 수 있습니다.
특히 장기근속자나 고액 퇴직자는 세금 부담을 가볍게 볼 수 없습니다.

  • 퇴직소득세 계산: 근속연수, 평균임금, 총 퇴직금에 따라 다르게 계산
  • 세금 줄이는 방법: 연금 형태로 분할 수령하는 게 훨씬 유리

2. IRP 이체 후 수수료 확인 필수

퇴직연금을 IRP 계좌로 옮겼다면, 금융사별 수수료 차이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.

  • 관리수수료 + 운용수수료 모두 체크하기
  • 비대면 IRP 개설하면 수수료 할인 혜택 받는 경우도 있음

Tip: 0.1% 수수료 차이도 장기로 보면 엄청난 금액 차이가 됩니다. 꼼꼼하게 비교하세요.

3. 연금 수령 요건 꼭 맞추기

퇴직연금을 연금으로 받으려면 조건이 있습니다.
조건을 못 맞추면 오히려 기타소득세가 붙어서 손해입니다.

  • 수령 나이: 만 55세 이상
  • 분할 수령 기간: 최소 5년 이상

이 조건을 충족해야 연금소득세율(3.3%~5.5%) 저율 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4. 투자상품 위험성 관리

퇴직연금을 DC형이나 IRP로 운용할 경우, 투자상품 선택이 중요합니다.

  • TDF 펀드: 은퇴 시점에 맞춰 투자 비율 자동 조정
  • 저위험 채권형 펀드: 안정성을 우선하는 경우 적합
  • 분산 투자: 국내외 주식, 채권, 리츠 등을 섞어 리스크 분산

주의: 고수익만 노리고 투자하면 큰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. 본인 투자 성향부터 정확히 체크하세요.

5. 노후자금 관리 계획 세우기

퇴직연금을 받는 순간부터는 자산 관리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.

  • 1년 단위 인출 계획 세우기 (계획 없는 소비는 금방 자산을 갉아먹음)
  • 긴급자금과 투자자금 따로 분리하기
  • 물가 상승률 고려해서 자산 재배분하기

생각 없이 소비하면 예상보다 훨씬 빨리 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 특히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엔 더 주의해야 합니다.

마무리

퇴직연금.
그냥 받는 게 아니라, 받기 전부터 전략이 필요합니다.

세금 줄이고, 수수료 아끼고, 투자 리스크 관리까지 제대로 해야 진짜 든든한 노후 자산이 됩니다^^

Tip: IRP 계좌 개설 방법과 TDF 투자 전략은 이어지는 글에서 더 자세히 정리해볼게요.